부동산학개론 기출 지문
오늘은 부동산학 개론 일부 내용으로 부종산의 개념과 분류 파트와 관련된 문제를 정리했습니다.
1장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
1.다음 중 복합개념의 부동산(부동산의 복합개념)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부동산을 지세, 지반, 구조, 설계 등의 측면에서 부동산활동의 대상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.
② 부동산을 가격이나 수급관계적 측면에서 부동산활동의 대상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.
③ 부동산을 권리관계나 법적 규제 등의 측면에서 부동산활동의 대상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.
④ 부동산을 유형적 측면인 기술적(물리적) 개념과 무형적 측면인 법률적, 경제적 개념으로, 즉 부동산을 종합적으로 이해(인식)하는 것을 말한다.
⑤ 토지와 건물이 각각 독립된 거래의 객체이면서도 마치 하나의 결합된 상태로 다루어져 부동산의 활동의 대상으로 삼는 부동산을 말한다.
1. : ④번
복합개념의 부동산(복합개념)은 부동산을 기술적(물리적), 경제적, 법률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인식하는 사고로서, 부동산학의 전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며, 부동산학의 학문적 근거이다.
2. 부동산에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은 자본, 자산으로서의 특성을 지닌다.
② 좁은 의미의 부동산은 토지 및 그 정착물을 말한다.
③ 준(準)부동산은 부동산과 유사한 공시방법을 갖춤으로써 넓은 의미의 부동산에 포함된다.
④ 부동산의 물리적 개념은 부동산활동의 대상인 유형(有形)적 측면의 부동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.
⑤ 토지는 생산재이지만 소비재는 아니다.
2. : ⑤번
토지는 생산재가 되기도 하며, 소비재가 되기도 한다. 토지는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재화를 생산하는 필수적인 생산요소일 뿐만 아니라, 생활에 편의를 제공하는 소비재이기도 하다.
3. 부동산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?
① [민법]에서 규정하고 있는 토지와 그 정착물은 협의의 부동산으로 분류한다.
② 좁은 의미의 부동산과 준부동산을 합쳐 광의의 부동산이라고 한다.
③ 10t 이상의 기선(機船)과 범선(帆船)은 등기가 가능하다.
④ 준부동산은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이며, 감정평가 등 부동산활동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.⑤ 부동산학에서 부동산의 개념은 부동산활동의 범위를 확장시켜 준다.
3. : ③번
선박은 20t 이상일 경우 [선박등기법에 의해 등기하여 부동산에 준하여 취급한다.
4. 부동산의 개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 부동산은 등기함으로써 공시의 효과를 갖는다.
② 공장재단이나 광업재단은 부동산에 준하여 취급된다.
③ 임차인의 정착물(tenant fixture)은 부동산으로 간주되는 것이 원칙이다.
④ [민법]상 부동산은 토지 및 그 정착물로 정의된다.
⑤ 부동산에 관한 권리는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다.
4. : ③번
임대인이 설치한 설비 등은 부동산정착물로 취급하지만, 임차인의 정착물은 부동산정착물로 취급하지 않는다.
5. 우리나라에서의 부동산과 소유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토지소유자는 법률의 범위 내에서 토지를 사용, 수익, 처분할 권리가 있다.
② [민법]에서 부동산이란 토지와 그 정착물을 말한다.
③ 토지의 소유권은 정당한 이익이 있는 범위내에서 토지의 상하에 미친다.
④ 토지의 소유권 공시방법은 등기이다.
⑤ 토지의 정착물 중 토지와 독립된 물건으로 취급퇴는 것은 업다.
5. : ⑤번
토지의 정착물 중 토지와 독립된 물건으로 취급되는 것이 있고, 토지의 일부인 물건으로 취급되는 것도 있다.